티스토리 뷰

반응형

영화 태극기휘날리며

소개 - 민족비극사에 피어났던 두 형제의 이야기

2004년 강제규 감독의 6.25 전쟁을 소재로 한 영화로 한국 영화의 르네상스를 이루는 시발점으로 평가되는 영화입니다. 서울 전쟁기념관에 있는 형제의 상이 모티브가 되었고 실제 형제였던 박규철 소위와 박용철 하전사의 이야기를 빗대어 만들었다고 합니다. 실제 6.25 전쟁에서 박규철 소위는 대한민국 육군으로 박용철 하전사는 조선인민군 육군으로 참전하게 되었는데 전쟁을 벌이던 중 원주 치악고개에서 극적으로 만나 동생을 귀순시켰다고 합니다. 역사를 재구성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고 "라이언 일병 구하기"의 내용과 소재가 비슷하다는 이야기도 그 당시에 많이 있었습니다. 효과 부분에서는 그 영화보다는 떨어지긴 하지만 한국정서를 자극하는 6.25를 설정하면서 많은 관객과 성공을 이루는 영화라고 볼 수 있습니다. 등장인물> 이진태(장동건): 이영화의 주인공으로 이진석의 친형이다. 많은 형제자매의 실질적인 가장역할을 맡고 있고 그 당시 어려운 시대상과 함께 하며 동네 구두닦이를 하면서 생활을 이어나간다. 동생 이진석의 서울대 진학을 위해 물심양면으로 희생하며 누구보다 동생을 사랑하고 부모님을 아끼는 인물로 나온다. 6.25 전쟁이 발발하자 동생 이진석과 강제 징용되어 전쟁에 참여하게 되고 여러 싸움에서 자신의 안위보다는 동생의 안전과 제대를 위해 누구보다 헌신하는 모습으로 나온다. 후에는 동생이 잘못되었다는 오해로 국가에 대해 반하는 감정을 갖게 되면서 북으로 월북하는 참담한 현실을 맞이하게 된다. 이진석(원빈): 이진태의 동생이자 가정의 유일한 희망. 어릴적부터 형의 그늘아래서 많은 사랑과 보호를 받으며 자란다. 어려운 가운데에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진학을 위해 열심히 공부하며 가정의 기대감을 높인다. 선천적으로 몸이 약해 진석의 도움을 많이 받고 누구보다 가족들을 향한 사랑이 충만한 인물로도 묘사된다. 형과 강제징용으로 끌려가게 된 후에도 형의 무리하고 자신만을 보호하는 모습에서 여러 갈등이 생겨나며 후에 형이 자신 때문에 월북한 것을 알게 되면서 형을 구하기 위해 북한으로 자진하여 가는 장면은 형에 대한 아낌없는 사랑을 보여주는 인물이기도 하다. 김영신(이은주): 이진태의 약혼녀이자 이진석의 형수. 여동생 2명과 남동생 1명을 거느리고 있으며, 진태와 그 가족들을 사랑하고 가정의 대소사를 감당하며 어려운 시기를 보낸다. 강제징용으로 두 형제가 끌려갔음에도 진태와의 사랑을 잊지 않으며 가정을 돌보며 끝까지 가정을 지키기 위해 노력한다. 불가피한 상황으로 반동분자로 오해를 받으면서 비극적인 삶을 맞이하게 된다.

한국 영화의 르네상스 시대를 맞이한 영화

할리우드의 전설적인 스타인 실베스타 스탤론이 극찬한 영화로 인물들의 사실감과 스토리의 완성도에 큰 감탄을 보냈다는 는 평가입니다. 여러 한국 전쟁 영화가 있었지만 단연 최고로 불릴 만큼 이 영화가 한국 영화의 르네상스를 열었다는 점에 의견을 다는 사람은 많지 않을 것입니다. 사실적인 스토리의 전개와 인간적인 정과 사랑, 연민의 모습 또한 영화를 보는 내내 관객들의 감동선을 충족시킬만하였고 비극적인 형제의 삶을 모티브가 되었지만 전쟁의 비극과 참상을 다시 한번 비추며 민족적인 불행이 다시 발생하면 안 된다는 교훈도 주기도 한 영화로 평가됩니다. 2004년 역대 2번째 천만관객 영화를 달성하며 흥행하였고 명량 개봉 전까진 10년간 한국영화 최고 흥행작으로 평가받아왔다. 한국의 "라이언일병 구하기"를 꿈꿨다는 감독의 고백처럼 실제 스토리가 비슷하였고 작품의 완성도 또한 그와 비슷한 전개를 보였다. 6.25의 참담한 역사적 사실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형제간 인간적인 면과 전쟁의 참혹함을 다뤘다는 점에서 스토리의 완성도 또한 높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탄탄한 스토리와 각 배우들의 내공 깊은 연기력과 시너지를 발생시키며 또 다른 한국 영화에 큰 기준을 만들어 내었습니다. 이 시기에 이 영화에 흥행은 관객들이 받아들이기에 뻔한 전쟁 영화가 아닌 민족상단의 비극을 확실하게 각인시키고 마음을 울리면서 영화의 완성의 대미를 작성했다는 평도 나왔습니다. 

한국 전쟁 영화의 롤모델 부상과 국방부와의 갈등

호평과 비평이 난무 하였지만 관객동원력과 스토리 완성도 측면에서 만큼은 한국 전쟁 영화의 롤 모델로 부상할 만큼 큰 대접을 받았습니다. 이후로 개봉하는 모든 한국 전쟁 영화가 이 영화와 비교될 만큼 고무적인 결과를 만들어 내었고 강제규 감독은 이 영화를 계기로 블록버스터의 규모와 스토리 모드를 다룰 줄 아는 명감독으로 평가받았습니다. 영화의 뻔한 소재일 수도 있는 6.25 전쟁이라는 소재로 기존 여러 매체에서 다루었던 감동 사례 등을 극복시키며 두 형제간의 안타까운 이별과 그 안에서 오는 여러 갈등을 애잔하게 소화시킨 완성도는 과연 연출가의 능력이 극대화된 영화라고 할 수 있습니다. 또한 불협화음이라고 하면 할 것이 영화가 제작되면서 국방부와 제작비와 스토리 구성 측면에서 갈등이 있었다고 밝혔습니다. 여러 논쟁에도 불구하고 스토리의 정확하고 관객에게 감동을 주기 위한 감독의 노력등으로 큰 무리 없이 원안대로 제작되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아쉬운 점은 국방부의 지원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과거 여순 사건을 그린 영화가 흥행이 안되고 국방부 이미지만 추락하는 결과를 낳았다는 평에서 이 부분에 대해 어쩔 수 없었다는 평을 보이는 영화이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한계는 분명하게 있었지만 우리 전쟁영화의 소재를 한 껏 완성도를 높였고 위상을 드높이는 역할에 기여한 바는 인정을 해야 할 것이고 간과해서는 안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