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개요 - 역사적 사실을 기반한 새로운 소재의 등장
2005년 이준익 감독의 영화로 조선의 연산군이 집권하던 시대를 그렸다. 절대 권력의 왕 앞에서 광대들의 자유와 명예에 관한 이야기로 그와 동시에 신분적 열세에 따른 광대들의 슬픈 운명을 보여준다. 당시 신분제의 모순과 궁중 광대라는 독특한 인물 설정을 통해 화려한 장면을 연출하였고 그 안에 보이는 인간미와 특유의 감성을 자극하는 영화이다. 장생과 공길의 뜨거운 우정과 그 사이에 벌어지는 비극을 통해 한낯의 꿈으로 밖에 볼 수 없는 영화적 비극 또한 두드러지는 것도 놓칠 수 없는 내용 중에 하나로 그 당시 가장 천만 다운 천만 영화라는 타이틀도 얻는다. 그만큼 성공하기 힘든 동성애를 담은 스토리를 넣었는데도 불구하고 기록한 그 의미는 매우 크다고 할 수 있다. 등장인물> 장생(감우성): 광대들 중 가장 으뜸으로 대담하고 호걸적인 성품을 지닌 인물이다. 험악한 인상으로 세월의 풍파를 느낄 수 있고 전국을 누비며 풍자와 줄타기에 능한 모습을 보여준다. 동료 광대인 공길과는 떼놓을 수 없을 정도의 유대감을 갖고 있으며 그를 매우 아끼고 신뢰한다. 공길(이준기): 여자라고 해도 믿을 정도로 고운 외모를 가진 남성 광대. 당시 연산군의 마을까지 홀릴 수 있는 화려한 외모로 연산군을 농락한다. 장생과 함께 어울려 다니며 광대놀이 시에는 이러한 이유로 여성역할을 자주 맡으며 전국을 누빈다. 장생에 비해 약간은 내성적이나 동료를 생각하는 의리와 우정은 장생 못지않다. 연산군(정진영): 조선시대에 대표적인 폭군으로 알만한 사람을 아는 희대에 왕. 어머니 폐비 윤씨에 대한 증오심을 갖고 있으며 광기 어린 모습으로 재조명된다. 장생과 공길을 통해 대리만족을 느끼려는 모습이며 영화의 소재제공의 중심역할도 감당한다. 장녹수(강성연): 연산군의 후궁으로 그를 꾀어 부귀영화를 누리려고 하는 한낯 지나져가는 간신의 모습을 하고 있다. 공길과의 마찰을 보였고 연산군을 놓치지 않기 위해 끝까지 그를 괴롭힌다.
천만다운 천만 영화
동성애와 사극의 합한 어려운 소재였는데도 불구하고 시대적인 상황과 독특한 광대라는 소재를 넣어 스토리의 완성과 신선한 흥행을 이루었다는 점에서 이준익 감독의 창작성과 연출의 대한 스킬이 유감없이 발휘되었다는 평가입니다. 당시 신예 배우 이준기를 탄생시키며 또 하나의 흥행을 이뤘다는 점에서도 높은 평가를 받을만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연산군이 공길에게 집착하는 것은 광기에 가깝고 애정결핍의 모습이 부가되면서 중증 환자에 가까운 역할을 그려냈다는 평도 받았다. 배우들의 깊은 내공이 숨어져서 영화의 완성도를 한층 끌어올렸고 이 영화로 예쁜 남자라는 타이틀을 만들어내며 배우 이준기라는 스타가 탄생할 수 있었다. 영화를 보는 내내 하고 싶은 말을 정확하게 하는 광대들의 능력과 여러 해학적인 풍미로 인해 보이는 해학 한마당, 또한 의상과 음향에서 나오는 우아하고 강렬한 사운드는 최근 영화와 빗대어도 손색이 없을 정도로 완성도가 높았다는 평가입니다. 또한 역대 천만영화 중 천만다운 천만 영화로 회자될 정도로의 흥행 성공은 한국영화가 어떠한 소재로도 천만 관객을 할 수 있다는 자신감을 불어넣어 주었으며 후속작품들도 한쪽에 국한된 소재에 매몰되는 것이 아닌 창의성과 완성도만 높다면 충분히 이뤄 낼 수 있다는 자신감 또한 마련해 준 의미 있는 한국 영화라고 볼 수 있겠습니다. 이러한 극찬이 되기에 여전히 이 영화를 사랑하고 즐기는 관객이 존재합니다. 질리지 않는 스토리까지 가미되었기에 가능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연산군의 폭정과 당시 광대들의 기구한 운명
전국 팔도를 돌아다니며 광대역을 했던 그 당시 사람들은 조선시대의 신분제의 슬픈 현실과 그것에 대응하는 그 당시 서민들의 애환을 녹여내었다는 평가도 있었습니다. 시대를 풍자하고 그 가운데서 세상을 즐기며 벗 삼아 살려는 모습은 치열하게 살아가는 고달픈 삶의 심심한 위로도 주었습니다. 신분제의 부도덕함과 차별대우가 그 당시의 애환과 한을 깊게 담아내면서 현대를 살아가는 우리게 감정의 울림과 공감대를 형성합니다. 또한 어지러운 사회에 불합리 또한 볼 수 있었는데 많은 분들이 알고 있지만 조선시대에 연산군은 누구나 알정도로 폭군의 성격이 큰 인물입니다. 어머니 폐비 윤 씨의 사연으로 관련 신하와 부왕 후궁들에게 적개심을 품고 국정을 농란하고 국가 재정을 파탄 내는 과정에 있었습니다. 그 가운데 광대라는 소재를 넣어 연산의 폭정을 다시 한번 재조명함으로써 무분별하고 무모한 개인적인 감정은 국가를 통치하는 데 있어 치명적인 결과를 가져오고 부정적인 요소라는 것을 보면 슬픈 연산의 인생을 재조명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겠습니다. 한 인간이기도 한 연산군이었지만 국가 정책의 폭정과 인륜의 도를 거스르는 만행 앞에서는 어떠한 이유도 합리화될 수 없다는 것을 일깨워 준 영화이기도 합니다.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도 이런 시대상을 본받아 받아들일 건 받아들이되 고칠 것은 확실하게 고쳐야 하는 냉철함을 가져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