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영화 광해 왕이 된 남자

소개 - 광해군 잊혀진 15일의 재구성

2012년 추창민 감독의 영화로 조선 광해군 시절 실제 일화를 빗데어 만들어진 영화로 승정원일기에서 지워진 광해군 15일간의 이야기를 광해군이 아닌 다른 사람이 다스렸다는 콘셉트를 가지고 제작된 영화이다. 역사의 평가가 박한 광해군의 이야기를 인간미와 그 당시 광해군의 입장에서의 고뇌와 번뇌를 함께 그려내며 관객의 마음을 자극한 영화이다. 순제작비는 65억이고 제작비 총액은 100억 원이었다. 시사회부터 스토리가 탄탄하고 영화의 전개가 좋다는 평가가 다수를 이루었고 이병헌의 1인 2역의 연기는 한국영화 사에서 최고의 결과로도 평가되었다. 등장인물> 광해군/하선(이병헌): 조선 15대 왕이며 연산군과 비슷하게 폐위된 비운의 왕이다. 광해군 역시 폭군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당시 어지러운 당쟁으로 자신이 언제 죽을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으로 인해 성격이 예민해지면서 정사를 못하고 폭정으로 이어진 비운의 왕이다. 하선은 광해군을 빙자한 가짜 왕으로 광해군과 다르게 따뜻한 마음과 남을 배려하는 마음을 가진 사람이었습니다. 정치는 잘 모르지만 여러 가지 문제로 못하는 정치들을 오히려 민본에 맞게 선포하면서 큰 결단력도 보여주었습니다. 진심으로 백성을 생각하는 마음이 돋보이며 영화를 보는 내내 관객들에게 따뜻한 마음을 전하는 모습을 보여주었습니다. 허균(류승룡): 왕을 보좌하는 도승지 역할을 하였고 광해군의 사소한 일부터 정치까지 모든 것을 관여하는 정치 실세로 나옵니다. 실제로도 상당한 벼슬을 갖고 있었고 하선을 다루는 모습에서 조선 왕가의 정통성을 잘 가르치고 파악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초반에는 하선을 그저 천민처럼 대했으나 시간이 지나면서 진심으로 섬기는 모습도 보이기도 합니다. 비록 가짜 왕을 자신이 섭외해서 데려왔지만 민본을 생각하는 진심 어린 모습에서 진짜 왕으로 모시고 싶어 하며 연민을 느끼는 모습도 보여주었습니다.

퓨전사극의 성공

광해군 시대 승정원일기에 기록되지 않은 15일이라는 소재와 허구를 적절히 교미하여 만든 퓨전사극이 훌륭할 수 있다는 완성작으로 보여주었다. 이병헌 배우가 이 당시 사극에도 최초의 도전이었고 한효주나 심은경 등도 사극에 자주 나오는 배우는 아니었어서 의미가 있는 사극 영화였다. 이러한 배우들의 캐스팅은 당시 정통사극보다는 좀 더 가볍고 소비적인 콘텐츠를 원하는 관객이 많은 시대였기에 이런 느낌이 들었고 그러한 수요에 걸맞추어 사극 영화의 장르를 만들었다는 거에 의미가 컸다고 볼 수 있었습니다. 영화는 어디까지나 개인의 요소와 기호가 주로 되는 만큼 평가에선 호불호가 갈릴 수 있으나 영화자체로의 완성도를 올리는 것에 의미를 둬야 한다. 또한 소재자체가 퓨전 사극의 신선함을 가미하여 정통사극에서 큰 변화를 주었다는 것에 색다른 효과가 있었고 특히 이병헌의 1인 2역이 화재가 되어 많은 찬사를 받은 완성도가 높은 영화였습니다. 광해군 시대 잊혀진 15일의 소재를 만들어 놓음으로써 역사적 사실에 입각하여 허구 적인 인물과 믹스를 시켰다는 점에서 또 다른 재미와 관객들의 사극에 대한 시선과 평가를 만들었다는 것에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물론 왜곡될 수 있는 부분의 오해를 살 수도 있었으나 무리하지 않는 선에서의 스토리 구성과 사실에 입각한 영화의 전개는 분명 평가 자체가 높을 수밖에 없다는 것은 인정하지 않을 수 없을 것입니다.

역사적 사실에 의한 스토리와 국내외의 성공적인 반응

광해군의 이미지에 지대한 영향을 미친 스토리가 돋보였는데 작품에서 중전에게 신경조차 쓰지 않는 모습과 권력 다툼에만 몰두하는 모습을 보면 실제 광해군과 가깝지 않았냐라는 극찬어린 평가를 보여주었고 중립외교나 대동법에 대한 진짜가 아닌 가짜가 실행하는 모습에서 광해군을 비판하는 것을 위회적인 표현을 하는 것도 보인다. 하지만 이런 부분에도 불구하고 광해군이 당시 주도적으로 정치를 했는지와 국정을 정상적으로 했는지에 대해서도 객관적인 시야로 볼 수 있는 부분이 아닌가 싶다. 인간적인 면과 광해군의 정치적인 면을 두 가지를 나타 내면서 그 당시 광해군의 인간적으로 어려운 위치와 고뇌를 상기시키는 역할을 한 부분이라고 평가됩니다. 다만 주의해서 이해해야 할 것은 영화는 역사적인 사실에 기반을 두었으나 허구적인 요소를 가미 시키면서 감동적인 이야기로 만들어 내서 스토리 완성측면에서 좋은 평가를 많이 받았습니다. 특히 이병헌의 1인 2역의 역할은 두 인물의 고뇌와 갈등을 완벽히 소화해 내면서 영화의 완성도를 더 크게 높였습니다. 종종 영화 구성상 이런 방법의 영화는 존재하였지만 보수성이 강한 한국 사극 영화에서 이 부분을 시도했다는 것은 사극이 익숙치 않았던 배우 자체에서도 부담이었을 것이고 연출 입장에서도 가벼운 선택만은 아니었을 것입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를 통해 국, 내외에서 많은 수상을 하게 되었고 당시 조선사회의 신분에 의한 시대상과 사회적인 문제에 대해서도 크게 부각하며 관객들에게 감동 또한 선물하는 계기를 만들어주는 영화였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