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소개 - 역사의 소용돌이 안에 펼쳐지는 관상가의 이야기
2013년 한재림 감독의 영화로 조선시대 계유정난을 그린 사극이다. 당시 계유정난에 관상가가 개입되었다는 가설을 바탕으로 제작되었으며 인물들 사이에 펼쳐지는 긴장감과 관상이라는 독특한 소재로 또 하나의 신선한 주제를 사극에 입혀 흥행에 성공한 영화입니다. 수양대군과 김종서의 권력다툼 속에서 벌어지는 긴장감 속에서 당시 권력을 향한 간신들의 모습도 비추는 상상력이 풍부한 스토리가 인상적이었습니다. 등장인물> 김내경(송강호): 얼굴만 보고 모든 사람의 인생과 역경등을 꽤뚫어 본다는 희대의 천재 관상가이다. 원래는 잘 나가는 양반가의 자손이었으나 아버지가 역모에 연루되어 참수당하고 집안이 멸문에 가까운 벌을 받아 시골에서 살고 있다. 처남 팽헌과 아들 진형과 은둔생활을 하며 살아가던 도중 생계를 위해 배워둔 관상학이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함께하는 결과를 낳는다. 수양대군(이정재): 모두가 아는 훗날 조선의 세조. 형 문종의 아들 단종을 보필해 달라는 약속을 끝내 지키지 않고 자신이 역모를 통해 왕이 되는 희대의 인물이다. 극중에서는 목을 잡아 뜯고 절대로 놓지 않는 잔인무도한 이리 상으로 나오면서 수양의 잔인함과 욕심이 부각된 인물로 묘사된다. 김종서(백윤식): 조선의 명장으로 호랑이 상을 가진 당시 조선의 충신으로 묘사된다. 김내경을 눈여겨 보며 그를 기용하여 수양에게 맞설 책략등을 구사했다. 하지만 이러한 노력에도 불구하고 팽헌의 밀고로 수양대군이 명나라로 보내지지 않으면서 자객들과 수양의 부하에게 무참히 살해되는 운명을 맞이한다. 팽헌(조정석): 김내경의 처남이자 진형의 외삼촌이다. 유쾌하고 가벼운 듯한 성향을 갖고 있으나 누구보다 조카와 형을 사랑하고 따른다. 내경과 인생일대를 함께하지만 수양대군의 위력 앞에 자신의 가족을 지키기 위해 김종서의 계획을 밀고하여 수양대군을 없앨 수 있는 기회를 놓치게 된다. 김진형(이종석): 김내경의 아들로 역적집안의 자손으로 관직에 오를 수 가 없는 신분이었으나 능력이 뛰어나 한양으로 가 가명으로 과거를 봐서 합력한다. 강직한 성품으로 김종서와 갈등을 빚었으며 김종서의 수하를 자처하는 자들에게 눈이 멀게 되는 비극적인 결말을 맞이한다.
관상이라는 독특한 소재와 사극의 조화
역사적 실질 내용을 담았지만 허구적인 측면에선 무리한 설정이 있었지만 900만이라는 한국 사극 영화의 획을 그었다는 평가는 인정하지 않을 수가 없습니다. 당시 한국 사극의 돌풍을 일으킬 초석을 만든 영화라는 평가도 있고 영화에서 등장하는 수양대군의 등장씬은 아직도 여러 군데에서 화자 되고 있는 명장면으로 꼽힙니다. 순간의 촬영기법과 이정재의 내공 있는 표정연기는 당시 수양대군의 위상과 위압감을 능히 대변하고도 남을 만하 장면이었습니다. 또한 대부분의 관객들의 영화의 점수도 8점 이상이 대부분 나올 정도로 좋았고 무리 없이 스토리가 흘러갔다는 평가가 대부분이었습니다. 다만 정통적인 사극의 느낌은 아니어서 스토리 중심적인 시야를 집중해서 보다 보면 멈칫할 수 있는 요소는 충분히 있으니 고려하여 봐야 합니다. 또 하나는 스토리 자체는 평이하지만 계유정난이라는 사극적인 요소를 관상이라는 소재를 묶어 새로운 이야기를 만들어다는 것에서 또 하나의 장르를 만들어 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러한 시도는 관객적인 요소에서 큰 성과는 아니었으나 여전히 평점이 높고 한국영화에서 꾸준히 거론되는 점에서 관객들의 시선을 사로잡았다는 것에는 일말의 의심이 없다. 코미디와 정치스릴러의 조화로 독특한 분위기를 연출했으며 내공 깊은 배우들의 연기는 영화의 절정의 키를 잡은 평가를 받았다.
900만의 의미있는 흥행과 역사적 사실과 괴리감
역대 사극 영화 중 단기간에 113만 관객을 동원하여 흥행에 성공하였고 천만을 넘지는 못했으나 900만이라는 사극에서 보기 힘든 성과를 내었다는 평가이다. 설국 열차 이후 최고의 흥행작으로 사극 영화 역대 베스트 5안에 들 정도로 독특한 소재로 다시 한번 사극 영화의 획을 그었다는 평가를 받았습니다. 사극이 흥행에 어려움을 겪는 것이 결말이 정해져 있고 정치적 역사적 왜곡될 수 있다는 부담감에 흥행이 쉽지 않은 것은 알고 있는 사실입니다. 하지만 이 영화는 그 한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 시작부터 그 부분을 잠식시키기 위한 노력을 게을리하지 않았고 실질 역사를 재구성했다는 점에서 의미는 있었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아쉬운 판정을 받는 것은 관상가라는 독특한 시야를 가진 소재를 도입함으로써 실제 역사와의 괴리감은 피할 수 없었다는 평가이다. 당시 민감하고 세상이 뒤짚힐만한 혁명적인 사건이 천한 신분에 속하는 관상가 하나가 역사의 중심에 있었다는 무리한 설정이 한계라고 생각되는 면이 있습니다. 또한 재미를 위해서는 인정받을 수 있었으나 역사적인 관점에선 논란의 여지가 있을 수밖에 없었던 상황이라는 것은 인정해야 할 것입니다. 또한 실존인물 수양에 대한 평가가 비약적으로 평가되면서 김종서를 충신 수양대군을 역적이라는 소재로 더욱 각인시켰다는 점에서 역사적 편향적인 시각에 대해 비평적인 것도 많이 있었다. 이러한 부정적인 평가도 분명 존재하지만 역사적 사실을 자연스럽게 가미시키며 결국은 흥행을 이끌어 낸 연기자와 연출자의 노력은 인정받아야 할 부분이라고 생각됩니다.